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GC
- Security
- 리팩토링
- oauth2
- Refactoring
- 페이스북
- 스프링
- 시큐리티
- 비동기
- assertj
- g1
- 스프링부트
- apache
- 클린코드
- RabbitMQ
- 페이징
- load balancing
- jvm
- OAuth
- spring boot
- JWT
- Producer
- java
- 권한
- 스프링 부트
- gdg
- JPA
- tomcat
- clean code
- Spring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1)
허원철의 개발 블로그
이번 글은 Apache 설치와 로드밸런싱을 하여 Spring Boot를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Apache 를 선택한 이유- 요즘은 apache가 지는 태양이라고 한다면 nginx라는게 뜨는 태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버 동작 차이라고하는데.. 아직은 nginx를 알지도 못하고 Apache가 친숙하지 않기 때문에 Apache를 선택했습니다. (추후에 nginx도 공부하는 걸로...) 로드밸런싱을 하게된 이유- WAS를 KT 클라우드에 올리게 되어 8 core X 8 G 사양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튜닝쪽 구글링을 하다가 로드밸런싱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판단되어 Apache에서 모듈을 이용해 로드밸런싱을 해보려고 합니다. - 톰캣 인스턴스당 2~3GB 정도의 Heap Sz..
이번 글은 저번 메시지 큐(Message Queue) 훑어보기에 이어 Spring Boot 에서 RabbitMQ를 활용한 예제에 대한 글입니다. 1. 어떻게 RabbitMQ를 접하게 되었는가..?2. 왜 RabbitMQ인가?3. 설치 과정4. 개념 정리5. 예제 1. 어떻게 RabbitMQ를 접하게 되었는가..?이번에 사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많은 데이터 처리가 웹서버만으로 힘들기 때문에 여러 방법을 구상 중 이였습니다. 앞단에 로드밸런싱을 해볼까?서버사이드에 분산은 되겠지만, DB가 버텨줄지 의문이였습니다. 기존 시스템 또한 DB가 말썽이였기 때문입니다. 또한 DB 사이드에 session을 무한정 늘릴 수도 없습니다. 그래서 선택하게 된 것이 메시지큐입니다. 이미 몇 년전부터 많은 기업에서 사용 중..
이번글은 메시지 큐에 대한 개념과 여러가지 미들웨어를 훑어보기 위한 글 입니다. 웹 서버를 구성하게 되면 성능에 대한 고려는 빼먹을 수 없습니다. 데이터 처리를 하다보면 너무 많은 처리로 인해 대기하는 요청이 쌓이게 됩니다. 그리곤 서버의 성능이 저하되는데, 최악의 경우에는 서버가 다운되는 상황까지 직면하게 됩니다. (많이 안타까운 상황이죠...ㅠ)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서버사이드에서는 로드밸런싱도 하고, DB사이드에서는 H/A, A/A 방식으로 구성도 하고 합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측면에서 볼 때, 비용도 많이 들고 DB사이드에서의 구성은 쉽지도 않습니다. 또한 DB 접속에 대한 한계도 있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택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그나마 빠르고 좀 더 원활한 서비스(?)를 위해 비동기..
이번 글은 spring에서 exception 처리를 하기 위한 글입니다. was가 tomcat인 spring 개발을 하다보면, 볼 수 있는 에러페이지 입니다.(가장 보기 싫은 페이지죠...) 요즘은 스크립트에서 비동기 처리를 많이 하기 때문에 적다곤 해도 간간히 보입니다만, 그래도 에러에 대한 여러 처리를 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why..? - 간혹 기본 에러페이지가 아닌 Rest 형식이나 커스텀 뷰로 표현해야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where..? 1. 에러가 발생하거나 일부러 에러는 내야하는 경우, 커스텀을 하고 싶다!(code변경이라던지, message 변경이라던지.. 등등) 2. 동일 Exception에 대해서 동일한 에러는 표현하고 싶다! 3. 더 간단하게 혹은 더 상세하게 보여주고 싶다! H..
서블릿 컨테이너의 이해국내도서저자 : 최희탁출판 : 한빛미디어 2014.03.14상세보기 주변 사람의 추천으로 서블릿 컨테이너의 이해라는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책을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1부에서는 서블릿 컨테이너의 중요성과 HTTP 프로토콜에 전반적인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2부에서는 서블릿 컨테이너의 구조와 진화 과정정도를 볼 수 있었습니다.3부에서는 Comet에 대한 간단한 내용을 볼 수 있었습니다. 책을 읽고 좋았던 점은 네트워킹에 대한 책은 아니지만 간략하게나마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게 해주어 좋았습니다. 사실 HTTP 프로토콜에서 header와 body를 구분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처리가 되고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초보 개발자에게 있어서 난감한 부분도 있고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