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Producer
- spring boot
- 권한
- tomcat
- 스프링부트
- 스프링
- 페이징
- 클린코드
- assertj
- g1
- Spring
- JWT
- Refactoring
- GC
- gdg
- java
- apache
- OAuth
- 리팩토링
- 시큐리티
- 스프링 부트
- clean code
- oauth2
- jvm
- Security
- load balancing
- 비동기
- JPA
- RabbitMQ
- 페이스북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transfer-encoding (1)
허원철의 개발 블로그
이번 글을 HTTP Header에 대한 간략한 내용 정리 입니다. 웹 어플리케이션은 HTTP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것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오고 가는 네트워크 패킷 분석을 통해 HTTP 프로토콜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HTTP 프로토콜을 Header 와 Body로 구분할 수 있는데, Header는 응답 데이터에 대한 정보, Body는 응답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각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F12)에서 Network 탭을 통해 HTTP 통신에 대한 내역들을 볼 수 있습니다. 1. Content-Length 2. Transfer-Encoding 3. Connection 4. Content-Encoding 1. Content-Length- HTTP 통신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전송..
web
2016. 12. 17. 20:42